News Room / IR

[머니투데이] 반도체 초미세공정 난제, 신소재로 풀었다...어썸레이 신사업 박차

  • 작성자 관리자
  • 조회 21

스타트업 어썸레이가 최근 반도체 펠리클 소재 개발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펠리클은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EUV(극자외선)장비를 사용할 때 이물질과 열로 인한 마스크와 웨이퍼의 손상을 막는 막(필터) 형태의 부품이다. 어썸레이는 펠리클 소재가 미래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보고 개발·사업화에 집중하고 있다.

어썸레이는 CNT(탄소나노튜브) 기반 산업용 공기정화장치, 저선량 엑스레이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출발했다. 2022년 시리즈B 라운드 투자를 받을 때만 해도 펠리클 소재 개발은 사업계획에 포함돼 있지 않았다. 갑자기 새로운 영역을 찾아 집중하면서 피봇 배경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어썸레이는 펠리클을 시작으로 앞으로 다양한 산업에 CNT를 공급하는 소재 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CNT를 활용한 경량전선은 어썸레이가 향후 미래 먹거리로 생각하는 분야다. 김 대표는 "CNT에 구리를 도금하는 방식을 활용하면 구리 전선과 전도율이 같으면서 무게는 5분의 1에 그치는 경량전선을 만들 수 있다"며 "전기차나 우주발사체, 위성 등에서 수요가 무궁무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제서야 창업하며 구상했던 어썸레이의 모습이 구현되는 것 같다"고도 했다.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에서 박사과정을 통해 CNT를 연구해온 김 대표가 어썸레이를 창업할 때만 해도 CNT 시장은 크지 않았다. 창업을 해놓고 시장이 커지기만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었다. 어썸레이가 개발한 공기정화장치, 엑스레이 등은 CNT를 시장에 판매하기 위해 만든 제품들이었다.


(중략)


전체 기사 읽기